맨위로가기

라트비아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 철도는 라트비아의 철도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1861년 리가와 다우가프필스를 연결하는 최초의 철도 노선 개통을 시작으로 역사가 시작되었다. 라트비아 독립 이후 국영 철도 회사로 운영되었으며, 소련 점령 기간 동안 철도 인프라가 파괴되기도 했다. 1991년 독립 회복 이후 국영 기업에서 주식회사로 전환되었으며, 자회사 설립 및 구조 조정을 통해 현재의 Latvijas dzelzceļš 그룹을 형성했다. 현재 화물 운송을 주로 담당하며, 국내선 및 국제선 여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기관차와 전동차, 디젤 동차를 운용하며, 굴베네와 알룩스네 사이에는 협궤 철도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기업 - 미크로틱
    미크로틱은 라트비아 회사로, RouterOS 운영 체제와 RouterBOARD 장비를 개발 및 생산하며, 중소규모 네트워크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보안 취약점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존재한다.
  • 철도 기업 - SJ AB
    SJ AB는 1856년 스웨덴 국유 철도의 전신으로 설립된 스웨덴의 국영 철도 운영 회사로, 간선 고속열차 및 지역 열차 운영에 집중하며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연결하는 국제 노선도 운영하고 향후 고속열차 도입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 철도 기업 - 독일철도
    독일철도는 1835년 최초 철로 부설 이후 서독과 동독 철도 통합으로 주식회사로 출범하여 세계 2위 규모 철도 운송 회사가 되었으나, 민영화 과정에서 경영난과 안전사고 등의 과제를 안고 유럽 철도 시장의 주요 사업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유럽의 교통 - SJ AB
    SJ AB는 1856년 스웨덴 국유 철도의 전신으로 설립된 스웨덴의 국영 철도 운영 회사로, 간선 고속열차 및 지역 열차 운영에 집중하며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연결하는 국제 노선도 운영하고 향후 고속열차 도입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 유럽의 교통 - 독일철도
    독일철도는 1835년 최초 철로 부설 이후 서독과 동독 철도 통합으로 주식회사로 출범하여 세계 2위 규모 철도 운송 회사가 되었으나, 민영화 과정에서 경영난과 안전사고 등의 과제를 안고 유럽 철도 시장의 주요 사업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라트비아 철도
지도
기본 정보
이름라트비아 철도
로마자 표기Latvijas dzelzceļš
다른 이름Latvijas valsts dzelzceļi
이전 이름Pasažieru vilciens (Vivi)
설립일1919년 8월 5일 (재설립: 1991년 10월 1일)
본사 위치리가, 라트비아
산업운송
대중교통
물류
형태국영 합자회사
운영
주요 인물리날츠 플랴브니엑스 (경영위원회 회장)
제품해당 사항 없음
서비스해당 사항 없음
수익1억 8330만 유로 (2019년)
순이익32,430 유로 (2019년)
직원 수9,950명 (그룹), 6,265명 (주식회사 라트비아 철도) (2019년 12월 31일 기준)
모회사라트비아 정부
자회사해당 사항 없음
웹사이트ldz.lv

2. 라트비아 철도의 역사

우페니에키 기차 정류장 (1938년)


라트비아 철도는 1861년 리가와 다우가프필스(Daugavpils)를 연결하는 최초의 철도 노선 개통으로 시작되어 러시아 제국, 제1차 세계 대전, 라트비아 독립, 소련 시대, 독립 회복 이후 등 여러 시기를 거치며 발전과 변화를 겪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러시아 제국 시대 (1861년 ~ 1917년): 라트비아 최초의 철도 노선이 개통되고 철도망이 확장되었다.
  • 제1차 세계 대전과 독립 (1917년 ~ 1940년): 전쟁 피해에도 불구하고 철도 복구 및 현대화가 진행되었다.
  • 소련 시대 (1940년 ~ 1991년):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전후 복구와 함께 전철화, 디젤 기관차 도입 등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
  • 독립 회복 이후 (1991년 ~ 현재): 국영 기업에서 주식회사로 전환되고, 여러 자회사가 설립되는 등 구조 개편이 이루어졌다.

2. 1. 러시아 제국 시대 (1861년 ~ 1917년)

1861년 9월 12일, 리가와 다우가프필스(Daugavpils)를 잇는 라트비아 최초의 철도 노선이 개통되었다. 1862년 12월 15일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와 바르샤바(Warsaw) 간 철도가 완공되면서 다우가프필스(Daugavpils)에 라트비아 최초의 철도 교차점이 생겼다. 1880년까지 라트비아에는 800km의 철도 노선이 건설되었다.

1900년까지 새로운 국가 재정 지원 철도 건설과 함께, 이전에 건설된 민간 철도는 국가 운영으로 통합되었다. 이 시기에 리가-오룔(Oryol) 철도청은 500km의 철도 노선을 관리하며 라트비아 최대 철도 운영업체가 되었다. 다른 철도들은 러시아 북서부 철도와 리에파야(Liepāja) – 롬나 철도청의 감독을 받았다. 1904년에는 1094km의 모스크바-벤트스필스 철도(Moscow–Ventspils Railroad)가 운영을 시작하여 리가를 지나 벤트스필스(Ventspils) 항구까지 약 165km 연장되었으며, 질루페와 벤트스필스 사이의 새로운 노선(456km)이 라트비아에 위치했다. 그 결과, 모든 주요 라트비아 항구가 철도로 내륙과 연결되었다.

20세기 초, 대규모 리가 철도 교차점 재건축이 시작되었다. 새로운 기차역과 연결 노선이 건설되었고, 리가의 다우가바 강(Daugava River) 위에 새로운 다리가 건설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으로 리가 여객역 재건축은 완료되지 못했다.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독립 (1917년 ~ 1940년)

제1차 세계 대전라트비아 독립 전쟁으로 철도 기반 시설은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전쟁 기간 동안 군사용 협궤 철도 건설로 총 철도 길이는 증가했다.[4]

라트비아 공화국 선포 후, 1919년 8월 5일 라트비아 철도 고등위원회(Dzelzceļu virsvalde|젤스첼류 비르스발데lv)가 설립되면서 라트비아 국가는 라트비아 영토 내 거의 모든 철도의 관리를 인수했다. 협궤 철도는 민간 소유로 남았고, 그 중 하나만이 현재 민간 법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1919년 8월 5일 이후, 위원회는 국영 ''Latvijas dzelzceļi''(''Latvijas valsts dzelzceļi'', '''라트비아 국영 철도''') 회사를 운영해 왔다.[4] 라트비아의 철도 기반 시설을 완전히 복구하는 데는 몇 년이 걸리지 않았다. 1923년에는 ''노르드 익스프레스'' 국제 열차 노선이 리가에 도입되어 베를린파리로 연결되었고, 별도의 리가-모스크바 우회 노선도 이용할 수 있었다. 1925년에는 새로운 철도 건설이 시작되었고, 역과 열차가 현대화되었으며, 리가 여객역에는 스위치와 신호를 위한 전기 연동 장치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발트해 연안 국가 최초의 열차 안전 장치였다.[4] 1940년까지 새로운 철도 노선이 건설되었고, 200개 이상의 철교와 130개의 새로운 역사가 건설되었으며, 전쟁 중 파괴된 기반 시설이 완전히 복구되었다.[4] 소련 점령 당국은 1940년 9월 1일에 철도 고등위원회를 해산했다.[4]

2. 3. 소련 시대 (1940년 ~ 1991년)

소련 점령 이후, 1940년 9월 1일에 철도 고등위원회가 해산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라트비아 철도망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대부분의 철교와 많은 역사가 파괴되었고, 선로, 통신 및 신호 시설에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했다.

발트 국가 소련 재점령 이후, 1950년까지 철도 산업은 주요 분야에서 완전히 복구되었다. 이후 교외 여객 노선의 전철화, 새로운 다리 건설, 디젤 화물 열차 및 장거리 여객 수송으로의 전환, 궤도 차량 안전 개선 등을 포함한 발전 시대가 시작되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벤트스필스 항구의 개발과 소련 산업화 정책으로 화물 수송량이 급증했다. RVR에서 제조한 전기 및 디젤 열차는 모든 교외 및 지역 교통 노선을 운행하며 더 많은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다. 1963년부터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칼리닌그라드주의 철도는 소련 발트 철도청(''Pribaltiyskaya'' 철도)의 감독을 받았으며, 최고 경영진은 리가에 있었다.

2. 4. 독립 회복 이후 (1991년 ~ 현재)

라트비아 철도 로고 (1992~2018)


1991년 라트비아 독립 회복 이후, 1992년 1월 1일 라트비아 영토 내 모든 공공 철도의 감독 및 운영은 국영 기업(v/u) ''Latvijas dzelzceļš''로 이관되었다. 복원된 라트비아 국영 회사는 2364km의 철도 노선과 23,0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었다.[4]

1993년, 국영 기업 ''Latvijas dzelzceļš''는 주식회사(VAS) ''Latvijas dzelzceļš''가 되었으며, 주식은 라트비아 국가가 전적으로 소유하게 되었다.

2001년, Latvijas dzelzceļš 그룹의 첫 번째 자회사인 Pasažieru vilciens이 LDz의 여객 서비스 부서로 설립되었다.

2003년, 자회사 SIA Dzelzceļa Apsardze가 설립되었고, 2007년 SIA ''LDZ Apsardze''로 이름이 변경되어 LDz의 철도 인프라 보안을 제공했다.[5]

2005년, 라트비아의 유럽 연합 가입과 관련하여 국영 주식회사 Latvijas dzelzceļš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에 따라 그룹의 자회사인 SIA LDZ Cargo, SIA LDZ Infrastruktūra 및 SIA LDZ Ritošā Sastāva Serviss가 설립되었다.

2008년에는 물류 서비스와 화물 서비스를 분리하여 자회사 SIA LDZ Loģistika가 설립되었다.

2010년, 라트비아 공화국 철도법 개정에 따라 Latvijas dzelzceļš 그룹 내 인프라 관리자의 필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주식회사 LatRailNet이 설립되었다.

3. Latvijas dzelzceļš 그룹



1991년 라트비아 독립 회복 이후, 1992년 1월 1일 라트비아 영토 내 모든 공공 철도의 감독 및 운영은 국영 기업(v/u) ''Latvijas dzelzceļš''로 이관되었다. 이 시점에서 복원된 라트비아 국영 회사는 2364km의 철도 노선과 23,000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1993년, 국영 기업 ''Latvijas dzelzceļš''는 주식회사(VAS) ''Latvijas dzelzceļš''가 되었으며, 그 주식은 라트비아 국가가 전적으로 소유하게 되었다.

국영 주식회사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에 따라, 2001년 Latvijas dzelzceļš 그룹의 첫 번째 자회사인 Pasažieru vilciens이 LDz의 여객 서비스 부서로 설립되었다. 2003년에는 자회사인 SIA Dzelzceļa Apsardze가 설립되었고, 2007년 SIA ''LDZ Apsardze''로 이름이 변경되어 LDz의 철도 인프라 보안을 제공했다.[5]

라트비아의 유럽 연합 가입과 관련하여, 2005년 그룹의 자회사인 SIA LDZ Cargo, SIA LDZ Infrastruktūra 및 SIA LDZ Ritošā Sastāva Serviss가 설립되었다. 2008년에는 물류 서비스와 화물 서비스를 분리하여 자회사 SIA LDZ Loģistika가 설립되었다. 2010년에는 라트비아 공화국 철도법 개정에 따라, Latvijas dzelzceļš 그룹 내 인프라 관리자의 필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주식회사 LatRailNet이 설립되었다.

재임 기간대표
1991년–1994년스타니슬라브스 바이코
1994년비톨드스 쿠린슈
1994년–2005년안드리스 조르게비치스
2005년–2014년우기스 마고니스
2014년–2015년아이바르스 스트라크샤스
2015년–2019년에드빈스 베르진슈
2019년–2023년마리스 클레인베르그스
2023년부터리날드스 플야브니에크스


3. 1. 주요 업무

라트비아 철도(Latvijas dzelzceļš)의 주요 업무는 그룹 경영 분야에서 각 사업 부문이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경우보다 더 나은 결과를 달성하고, 그룹 사업 방향의 발전과 경쟁력을 확보하며, 국가 경제 이익을 위해 자회사 운영을 보장하는 것이다.

3. 2. 기업 정책

라트비아 독립 회복 이후, 1992년 1월 1일 라트비아 영토 내 모든 공공 철도의 감독 및 운영은 국영 기업 ''Latvijas dzelzceļš''로 이관되었다. 1993년, 국영 기업 ''Latvijas dzelzceļš''는 주식회사 ''Latvijas dzelzceļš''가 되었으며, 그 주식은 라트비아 국가가 전적으로 소유하게 되었다.

라트비야스 젤즈체시(Latvijas dzelzceļš) 그룹의 사명은 라트비아의 철도 인프라를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지속 가능하게 관리 및 개발하는 동시에, 라트비아 국가 경제와 사회의 이익에 부합하는 경쟁력 있는 철도 및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라트비야스 젤즈체시 그룹의 비전은 운송 부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고객에게 높은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기업이 되는 것이다.

라트비야스 젤즈체시는 라트비아에서 가장 큰 고용주 중 하나이며, 수 세대에 걸쳐 회사에 헌신해 온 직원들이 그 기반이다. 전문적인 철도 종사자 팀을 통해 그룹은 목표를 달성하고 시장 변화에 적응하며 높은 경쟁 조건에서도 일하면서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의 교통 안전을 보장한다.

2016년부터 라트비야스 젤즈체시는 지속 가능성 보고서를 작성해 왔으며, 초기에는 국제 지속가능성보고 이니셔티브(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 지침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지만 2018년부터는 GRI 표준의 기본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독립적인 감사 회사는 연례 보고서에 대한 결론을 제공한다. 모든 지속 가능성 보고서는 parskati.ldz.lv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3. 자회사



설립 연도자회사명주요 업무
2001년Pasažieru vilciens여객 서비스
2003년[5]SIA Dzelzceļa Apsardze (2007년 SIA LDZ Apsardze로 변경)[5]철도 인프라 보안
2005년SIA LDZ Cargo, SIA LDZ Infrastruktūra, SIA LDZ Ritošā Sastāva Serviss(각각) 화물 운송, 인프라 관리, 차량 서비스
2008년SIA LDZ Loģistika물류 서비스
2010년LatRailNet인프라 관리


4. 노선

폐쇄된 노선(회색 가는 선)을 포함한 라트비아 철도 노선도


라트비아 철도는 여객과 화물 운송을 모두 담당한다. 여객 서비스는 파사지에루 빌치엔스(Pasažieru vilciens)에서 운영하며, 화물 열차는 현재 여객 운행 중인 모든 노선과 여객 운행이 중단된 여러 노선에서 운행된다.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 정보는 각각 === 국내선 ===, === 국제선 ===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굴베네알룩스네 사이에는 협궤철도가 운행되며, 자세한 내용은 === 기타 서비스 ===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4. 1. 국내선

2016년 통근열차 운행 빈도


여객 서비스는 파사지에루 빌치엔스(Pasažieru vilciens)에서 운영하며, 최대 주주는 라트비아 철도이다.[15] 현재 운행 중인 여객 노선과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노선운행 빈도 및 참고 사항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 철도(Torņakalns – Tukums II Railway)1
리가-옐가바 철도(Riga – Jelgava Railway)2
옐가바-리에파야 철도(Jelgava – Liepāja Railway)주중 양방향 8회 운행
리가-다우가프필스 철도(Riga – Daugavpils Railway)3하루 5회 운행
크루스트필스(Krustpils) – 레제크네(Rēzekne) – 질루페(Zilupe) (러시아 국경)리가에서 출발하는 하루 두 대의 열차가 라트비아 중부 및 동부 시골 지역을 운행. 리가에서 모스크바로 가는 매일 운행 서비스도 있음.
리가 – 시굴다(Sigulda) – 체시스(Cēsis) – 발미에라(Valmiera) – 발가 (에스토니아)리가 중앙역을 출발. 제미타니, 치에쿠르칼른스(Čiekurkalns), 유글라 등의 근교 역이 포함. 소련 시대에는 시굴다까지 전철이 운행되었지만, 현재는 디젤 열차가 운행. 시굴다는 하루 약 11회, 체시스는 6회, 발미에라는 4회 운행되며, 하루 2회의 열차가 노선 전체를 운행하여 발가의 공동 역을 통해 라트비아/에스토니아 국경 도시인 발카(Valka)와 발가를 연결.
제미타니-스쿨테 철도(Zemitāni – Skulte Railway)4
플라비냐스(Pļaviņas) – 굴베네(Gulbene)



최근 몇 년 동안 여객 서비스가 중단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리가 – 레뉴게(리투아니아 국경)
  • 리가 – 에르글리(Ērgļi) (철도 제거됨)
  • 옐가바 – 메이테네(리투아니아 국경)
  • 옐가바 – 크루스트필스
  • 카르사바(Kārsava) (러시아 국경) – 레제크네 – 다우가프필스 – 젬갈레(리투아니아 국경)
  • 에글라이네(Eglaine) (리투아니아 국경) – 다우가프필스 – 인드라(벨라루스 국경) (현재 인드라까지 주 2회 운행)

  • 1 투쿰스(Tukums)까지 전철화
  • 2 옐가바까지 전철화
  • 3 아이츠크라우클레(Aizkraukle)까지 전철화
  • 4 전체 노선 전철화

4. 2. 국제선

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와의 철도 연결이 있다. 라트비아 철도(LDz) 열차는 발카/발가에 정차하며, 에스토니아 운영사인 엘론을 통해 타르투로 연결된다. 다우가프필스는 주말에 리투아니아 철도 서비스를 통해 빌뉴스와 연결되었다.

모든 국제 여객 서비스는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중단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벨라루스 및 러시아 정부에 대한 국가 제재로 인해 팬데믹 이후 우크라이나로 가는 서비스는 재개되지 않았다.

리가와 러시아 도시 간의 야간 서비스는 Latvijas Ekspresis(Latvia Express)가 운영했다.

4. 3. 기타 서비스

굴베네알룩스네 사이에는 협궤철도가 운행되고 있으며, 정부 계약에 따라 SIA "Gulbenes – Alūksnes bānītis" 회사가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제작된 유산 궤간 차량을 이용하여 운영하고 있다.[7] 두 도시 간 33km 구간에는 하루에 협궤 열차가 세 대 운행된다. 2019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하루 두 대의 열차로 운행이 확대되었다.[8]

5. 차량

RVR ER2T 기관차


살라스필스 역의 Škoda 16EV


라트비아 철도는 디젤 기관차, 전동차, 디젤 동차 등을 운용하고 있다.

5. 1. 디젤 기관차

종류차량 번호수량
화물용M6233대
2M6240대
2M62UM30대[9]
2TE10M10대
2TE10U14대
2TE116대수 불명
여객용TEP7015대
조차용ČME3M, ČME3MB (ChME3)57대[10]
TEM27대
TGK2V1대
TGM31대
TGM23, TGM23B2대


5. 2. 전동차

ER2 32대, ER2T 6대(7113-7118), ER2M 1대(605호), Škoda Vagonka 16EV 32대가 운행 중이다.[11][12][13]

5. 3. 디젤 동차

종류수량
DR1A31대
DR1AM10대
AR2 (레일버스)1대 (옐가바-크루스트필스 선 작업자용)


참조

[1] 웹사이트 Ilgtspējas un gada pārskats 2019 https://parskati.ldz[...]
[2] 웹사이트 Ilgtspējas un gada pārskats 2019 https://parskati.ldz[...]
[3] 웹사이트 Ilgtspējas un gada pārskats 2019 https://parskati.ldz[...]
[4] 웹사이트 Latvijas Republikas valsts uzņēmums "Latvijas dzelzceļi" 1919. – 1940. https://www.ldz.lv/l[...] 2022-07-13
[5] 웹사이트 About company https://apsardze.ldz[...] 2024-01-07
[6] 웹사이트 Vilnius–Riga–Vilnius. Schedule https://ltglink.lt/e[...] 2024-11-01
[7] 웹사이트 About Company - Bānītis http://www.banitis.l[...] 2019-12-21
[8] 웹사이트 Timetable - Bānītis http://www.banitis.l[...] 2019-12-21
[9] 웹사이트 2M62UM https://rss.ldz.lv/e[...] 2019-12-21
[10] 웹사이트 ČME3M https://rss.ldz.lv/e[...] 2019-12-21
[11] 웹사이트 Latvian EMU order goes to Skoda after tender re-evaluation https://www.railjour[...] 2020-08-29
[12] 웹사이트 Latvian EMU order finally signed https://www.railjour[...] 2020-08-29
[13] 웹사이트 ŠKODA VAGONKA WON A CONTRACT FOR THE SUPPLY OF ELECTRIC TRAINS FOR LATVIA {{!}} Škoda Transportation a.s. https://www.skoda.cz[...] 2019-12-21
[14] 웹사이트 Network Statement 2007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PASAŽIERU VILCIENA MARŠRUTU SHĒMA(ラトビア鉄道路線図) https://www.pv.lv/i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